Surprise Me!

[현장 카메라]‘한국의 갈라파고스’ 뒤덮은 중국산 쓰레기

2022-06-06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해양 쓰레기는 국경을 넘어 해류에 따라 흘러다닙니다. <br> <br>'한국판 갈라파고스'로 알려진 서해 굴업도에는 중국에서 온 쓰레기가 파도를 타고 밀려 들어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저는 서해 굴업도에 막 도착했습니다. 천혜의 자연으로 사랑받는 곳인데 쓰레기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. 현장으로 가서 확인해보겠습니다.<br><br>인천항에서 배로 약 3시간 이동하면 보이는 외딴 섬. <br><br>백패킹의 성지로 불리는 굴업도입니다. <br> <br>1990년대 중반 핵폐기장이 건설될 뻔했지만 철회돼, 해안 절벽이나 사구 같은 자연 지형이 고스란히 보전돼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알려진 것과는 달리, 해변은 쓰레기투성입니다. <br> <br>[관광객] <br>"경치는 좋은 곳인데 쓰레기장이야 쓰레기장. 저거 한 트럭은 된다고." <br> <br>페트병과 폐어구는 물론, 심지어 이불까지 파도에 떠밀려 해안가로 들어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해안을 따라 쓰레기가 널려있는데요. 보시면 페트병 상표에 중국어가 적혀있습니다." <br><br>중국어가 적힌 홍차 음료 페트병부터 이과두주 술병까지 다양합니다. <br><br>주민 10여 명이 쓰레기 수거를 도맡아왔지만 쓰레기양이 워낙 많아 역부족입니다. <br> <br>[굴업도 주민] <br>"치워도 치워도 들어와. 오늘 내가 저걸 싹 치웠다면 내일 바람 불면 다 들어와. 바다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버리는 사람이 버리지 말아야 하는데 그걸 줍는 사람이 다 못 주워요." <br> <br>굴업도를 포함해 주변 7개 섬에서 수거되는 해양 쓰레기는 1년에 200톤. <br> <br>한강 하구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내륙 쓰레기도 보입니다. <br> <br>[이해왕 / 굴업도 주민] <br>"마음이 좀 아프죠. 동네가 깨끗하고 자연이 살아있는 환경이 돼야 하는데." <br> <br>굴업도에 들어오는 배편은 하루 한 편뿐. <br> <br>접근성이 좋지 않아 수거 인력을 보내기도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옹진군청 관계자] <br>"섬 자체가 들어가면 무조건 1박 2일을 해야 하는 곳이에요. 그러다 보니 저희 인력이 매일 거기에 들어갈 수도 없는 거고." <br><br>지난해 전국에서 수거된 해양 쓰레기는 12만 톤. <br> <br>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이 가운데 해외에서 밀려온 해안가 쓰레기는 4.1%로, 대부분 중국에서 온 것으로 파악됩니다. <br><br>[우승범 / 인하대 해양과학과 교수] <br>"특히 섬 주변에서는 바닷물이 섬 주변을 도는 흐름이 발생하거든요. 바닷물의 흐름, 바람 이런 것들이 어떻게 보면 다 조합돼서 그 지역에 많이 쌓이는 거죠." <br> <br>하지만 국제협력은 멀기만 합니다. <br> <br>[해양수산부 관계자] <br>"중국 어디에서 발생한 쓰레기고 이런 것들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를 기반으로 얘기해야 하는데 저희가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사업은 사실 없거든요." <br> <br>대부분 해양 쓰레기는 플라스틱 재질입니다. <br> <br>분해를 반복해 미세 플라스틱이 되면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, 결국 인체에도 치명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<br> <br>해양 쓰레기에 대한 체계적인 추적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 <br><br>PD : 김남준 장동하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